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

[매일 분석] 25년4월10일 기준 지난 밤 미국 주식 시황 분석

by info-fitzgerald 2025. 4. 10.
반응형

[매일 분석] 25년4월10일 기준 지난 밤 미국 주식 시황 분석

오늘 새벽 나온 미국 경제 지표와 지표 수치

2025년 4월 9일 밤(미국 동부 시간 기준), 한국 시간으로 4월 10일 새벽에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는 시장의 큰 관심을 끌었다. 3월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3.8% 상승으로 예상치(3.6%)를 상회했으며, 전월 대비 0.4% 증가로 예상(0.3%)보다 높았다. 근원 CPI(식품·에너지 제외)는 4.0%로 전달(4.1%)보다 소폭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보여줬다. 같은 시각 공개된 3월 FOMC 의사록은 연준이 금리 인하를 2025년 하반기로 미룰 가능성을 시사하며 매파적(hawkish) 입장을 드러냈다. 이 지표들은 인플레이션 지속성과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부각시키며 아시아 장 개장 전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쳤다.

 


지표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트럼프 관련 주요 뉴스

CPI의 예상 초과 상승은 금리 인하 기대를 약화시켜 시장에 초기 충격을 주었다.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2%로 상승하고 달러가 강세를 보이며, 코스피는 개장 초 반도체와 수출주 중심으로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트럼프 관련 뉴스에서 긍정적 반전이 있었다. 4월 9일 오후, 트럼프 대통령은 90일간의 관세 유예(중국 제외)와 중국산 수입품에 125% 관세 부과를 발표하며 투자자 불안을 완화했다. 이 소식에 S&P 500은 9.5%, 나스닥은 12.2% 급등하며 각각 2008년, 2001년 이후 최대 일일 상승폭을 기록했다. 한국 시장도 이 낙관론에 힘입어 4월 10일 장 초반 반등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날 미국 시황 브리핑 요약 (4월 9일)

4월 9일 미국 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 변화로 극적인 변동성을 보였다. 장 초반 상호관세 발효(중국 104%, 기타 국가 11~50%)로 다우존스는 1,200포인트(2.9%) 하락하며 40,500선 아래로 밀렸고, S&P 500은 3.5%, 나스닥은 4.2% 하락했다. 하지만 오후 트럼프의 90일 관세 유예 발표로 시장은 급반등했다. 다우존스는 2,500포인트 상승하며 41,800선, S&P 500은 5,650선, 나스닥은 19,500선을 회복하며 마감했다. 한국 코스피는 2,293.7(2.3% 하락)으로 약세 마감했으나, 미국발 호재로 4월 10일 회복세가 기대된다. 원·달러 환율은 1,480원대에서 1,450원대로 하락하며 안정화 조짐을 보였다.


앞으로 시장 일정 및 실적 발표

다가오는 시장 일정과 실적 발표는 시장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 요소다. 아래는 Investing.com을 참고해 정확한 일자로 정리한 4월과 5월 주요 일정표다.

날짜이벤트세부 내용
4월 11일(목) 미국 3월 PPI 발표 생산자 물가로 인플레이션 지속성 점검
4월 11일(목)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소비 심리 및 관세 유예 효과 확인
4월 15일(월) JP모건 실적 발표 금융 섹터 관세 충격 회복 여부 분석
4월 15일(월) 씨티그룹 실적 발표 금융 섹터 관세 충격 회복 여부 분석
4월 22일(월) 테슬라 실적 발표 전기차 수요와 관세 영향 점검
5월 28일(화) 엔비디아 실적 발표 반도체 및 AI 성장성 확인

PPI는 CPI를 보완하며 인플레이션 추세를, 소비자심리지수는 관세 유예의 긍정적 영향을 확인할 지표로 주목받는다. 테슬라와 엔비디아 실적은 각각 전기차와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성을 보여줄 것이다.


VIX 지수와 Fear & Greed 지수

4월 9일 VIX 지수는 장중 48.72까지 치솟았으나, 관세 유예 발표 후 25.31로 급락하며 전일 대비 약 40% 하락했다. 이는 시장 공포가 완화되고 단기 변동성이 진정되었음을 의미한다. CNN의 Fear & Greed 지수는 장 초반 극단적 공포(15)에서 마감 시 중립(50 근처)으로 회복하며 투자 심리 개선을 반영했다. VIX는 단기 불안을, Fear & Greed는 장기 심리를 나타내며, 현재 두 지수는 관세 완화로 안정세를 보인다. 다만, 중국과의 갈등 지속 여부가 변동성을 재점화할 잠재 요인으로 남아 있다.


주요 뉴스 10개 한 줄 요약

  1. 미국 3월 CPI 3.8% 상승, 예상치 상회로 금리 인하 기대 약화.
  2. FOMC 의사록, 금리 인하 2025년 하반기로 연기 가능성 시사.
  3. 트럼프, 4월 9일 90일 관세 유예 발표로 S&P 500 9.5% 급등.
  4. 중국산 수입품 125% 관세 부과 확정, 나스닥 12.2% 상승 주도.
  5. 코스피, 4월 9일 2,293.7로 하락 후 10일 반등 전망.
  6. 원·달러 환율, 4월 9일 1,480원에서 1,450원대로 하락.
  7. 금 가격, 관세 불확실성 완화로 2,750달러에서 2,720달러로 조정.
  8. 일본 닛케이, 관세 유예 소식에 4월 10일 5% 상승 예상.
  9. 유럽 STOXX 600, 4월 9일 약세 후 10일 회복 조짐.
  10. OPEC, 4월 12일 회의로 유가 안정화 방안 논의 예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