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

[매일 분석] 25년4월15일 기준 지난 밤 미국 주식 시황 분석

by info-fitzgerald 2025. 4. 15.
반응형

[매일 분석] 25415 기준 지난 미국 주식 시황 분석

[매일 분석] 25년4월15일 기준 지난 밤 미국 주식 시황 분석

 

오늘 새벽 나온 미국 경제 지표와 지표 수치

2025년 4월 14일 밤(미국 동부 시간 기준), 한국 시간으로 4월 15일 새벽에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는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3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증가로 예상치(0.4%)를 상회했으며, 전년 대비 3.2% 상승했다.

 

4월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지수는 -10.8로 예상(-12.5)을 약간 웃돌았으나 여전히 부정적 영역에 머물렀다. 이 지표들은 소비 회복세를 보여 긍정적 신호를 주었지만, 제조업의 지속적 약세는 경제 전망에 혼재된 메시지를 보냈다.

 

소비 강세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며 연준의 금리 동결 가능성을 강화했다.


지표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트럼프 관련 주요 뉴스

소매판매의 예상 초과 상승은 소비자 지출의 견고함을 나타내며 초기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제조업지수의 부진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 여파로 해석되며, 코스피를 포함한 아시아 시장은 개장 초 혼조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관련 뉴스에서는 관세 정책의 새로운 변화가 화제였다. Reuters(4월 14일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는 전자제품(스마트폰, 컴퓨터 등)에 대한 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했고, 이는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반등(2.3%)을 이끌었다. 그러나 CNN(4월 13일 보도)에서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이 정책을 “시장 혼란을 조장한다”며 비판했다. 한국 시장은 삼성전자 등 기술주가 관세 면제 호재로 4월 15일 반등을 시도할 전망이다.


오늘 미국 시황 브리핑 요약 (4월 14일)

4월 14일 미국 시장은 관세 면제 소식과 소매판매 호조로 상승세를 기록했다. 다우존스는 1.8% 상승하며 42,100선을 돌파했고, S&P 500은 2.1% 오른 5,670선, 나스닥은 2.3% 상승한 19,650선으로 마감했다. Bloomberg(4월 14일 보도)는 애플과 엔비디아가 각각 3.2%, 4.1% 상승하며 기술주 랠리를 주도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장 후반 중국의 보복 관세(미국산 수입품 125%) 소식이 전해지며 변동성이 커졌다. 한국 코스피는 전일 2,320.4(1.1% 상승)으로 마감했으며, 4월 15일 기술주 중심의 상승과 원·달러 환율(1,445원대) 안정화가 예상된다.


앞으로 시장 일정 및 실적 발표

다가오는 시장 일정과 실적 발표는 시장의 다음 행보를 결정할 주요 변수다. 아래는 Investing.com에서 확인한 정확한 일자로 정리한 일정표다.

 

날짜이벤트세부 내용4월 15일(화)미국 3월 산업생산제조업 회복 여부 점검4월 16일(수)미국 3월 주택착공건수부동산 시장 동향 확인4월 16일(수)뱅크오브아메리카 실적금융 섹터 실적 동향 점검4월 17일(목)넷플릭스 실적 발표스트리밍 시장 성장성 분석4월 22일(월)테슬라 실적 발표전기차 수요 및 관세 영향 확인

 

산업생산과 주택착공건수는 경제 회복의 지속성을, 금융 및 기술 섹터 실적은 관세 정책의 영향을 가늠할 지표로 주목받는다. 테슬라와 넷플릭스 실적은 각각 전기차와 스트리밍 시장의 전망을 보여줄 것이다.


VIX 지수와 Fear & Greed 지수

CNN Business(4월 14일 기준)에 따르면, VIX 지수는 22.45로 전일(25.31) 대비 하락하며 시장 변동성이 완화되었다.

이는 관세 면제와 소매판매 호조로 투자자 불안이 다소 줄어든 결과다. Fear & Greed 지수는 19로, 전일(25) 대비 하락하며 공포(Fear) 영역에 머물렀다.

 

CNN은 이 지수가 기술주 상승에도 불구하고 중국 보복 관세 우려로 공포 영역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중국과의 무역 갈등 지속은 변동성 요인으로 남아, 두 지수는 단기적으로 돌발 이벤트에 민감할 가능성이 크다.

 


주요 뉴스 10개 한 줄 요약

  1. 미국 3월 소매판매 0.6% 증가, 예상치 상회로 소비 강세 확인 (Reuters, 4/14).
  2. 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면제 발표로 나스닥 2.3% 상승 (Bloomberg, 4/14).
  3. 중국, 미국산 수입품에 125% 보복 관세 부과 확정 (CNBC, 4/14).
  4. 4월 엠파이어 제조업지수 -10.8, 예상 상회하나 부진 지속 (CNN, 4/14).
  5. 워런 상원의원, 트럼프 관세 정책을 “시장 혼란”으로 비판 (CNN, 4/13).
  6. 코스피, 4월 14일 2,320.4로 상승 후 15일 기술주 반등 전망 (Barron’s, 4/14).
  7. 원·달러 환율, 1,445원대 안정화 조짐 보이며 하락 (Reuters, 4/14).
  8. 금 가격, 관세 불확실성 완화로 2,730달러로 소폭 조정 (Bloomberg, 4/14).
  9. 일본 닛케이, 관세 면제 소식에 4월 15일 상승 예상 (CNBC, 4/14).
  10. 유럽 STOXX 600, 4월 14일 1.5% 상승으로 회복세 유지 (Barron’s, 4/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