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

대통령 파면 그 이후는?

by info-fitzgerald 2025. 4. 5.
반응형

대통령 파면 후의 대한민국은 어떻게 될까? 

대통령 파면 그 이후는?

 

2025년 4월 4일 : 대통령 파면과 직무 정지 즉시 해소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만장일치로 인용하며 그의 대통령직을 공식적으로 박탈했다. 이로써 2024년 12월 14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이후 약 112일간 이어졌던 직무 정지 상태가 종료되었다.

직무 정지 기간 동안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수행해왔으며, 윤 대통령의 파면 결정으로 한 총리는 즉시 권한대행으로서의 역할을 계속 수행한다. 헌법 제71조에 따르면, 대통령이 궐위되거나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국무총리가 그 직무를 대행하게 된다.


2025년 4월 5일~4월 14일: 대선 준비 착수와 정치권 움직임

대통령 파면이 확정된 직후, 헌법 제68조에 따라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는 60일 이내에 치러져야 한다. 이는 늦어도 2025년 6월 3일까지 대선이 실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파면 결정 다음 날인 4월 5일부터 대선 일정 수립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통상적으로 대선은 약 50일간의 준비 기간을 거치므로, 4월 중순까지 선거 일자가 공식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

이 시기 정치권은 후보 선출을 위한 치열한 물밑 작업에 돌입할 것이며,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와 국민의힘 내부의 잠재적 후보들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2025년 4월 15일~5월 초: 후보 등록과 선거운동 시작

대선 일정이 확정되면, 후보 등록은 투표일 약 20일 전인 5월 초에 시작된다. 과거 사례를 참고하면,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후 치러진 대선에서 후보 등록은 투표일(5월 9일) 15일 전인 4월 25일26일에 이루어졌다. 이번에도 비슷한 일정으로 5월 13일14일경 후보 등록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등록 후 공식 선거운동 기간은 약 2주간 이어지며, 각 정당은 이 시기에 본격적인 유세와 정책 공약 발표를 통해 표심을 공략할 것이다.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는 이 과정에서 중립을 유지하며 행정 안정화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5월 말~6월 3일: 대선 투표와 새 대통령 취임

대선 투표일은 헌법상 60일 기한을 고려할 때, 5월 말에서 6월 초 사이에 설정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5월 28일(수요일) 또는 6월 3일(화요일)이 유력한 날짜로 거론된다. 투표가 완료되고 개표가 마무리되면, 당선자는 즉시 대통령직에 취임한다.

 

이는 대통령 궐위 상황에서 신속한 권력 공백 해소를 위한 조치로, 별도의 취임식 없이 간소화된 절차로 진행될 수 있다. 새 대통령은 2025년 6월 4일경부터 임기를 시작하며,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원래 임기 만료일인 2027년 5월 9일까지 이어진다.


이후 전망: 정치적 안정과 과제

새 대통령이 취임하면, 약 4개월간의 정치적 혼란은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촉발된 사회적 갈등과 정치적 양극화는 쉽게 해소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새 정부는 경제 안정, 외교 관계 복원, 그리고 헌법 기관의 신뢰 회복 등 산적한 과제를 안고 출범하게 된다. 또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형사 재판(내란죄 등)이 병행되며 정치적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결론적으로, 대통령 빈자리는 2025년 6월 초까지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로 유지되며, 이후 대선을 통해 새 대통령이 선출되어 공백이 채워진다. 이 과정은 대한민국 헌정사에서 두 번째 탄핵 성공 사례로 기록되며, 민주주의와 법치의 시험대가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