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

테슬라 2025년 1분기 인도량 발표치와 주가 전망

by info-fitzgerald 2025. 4. 2.
반응형

테슬라 2025년 1분기 인도량 발표치와 주가 전망

테슬라 2025년 1분기 인도량 발표치와 주가 전망

테슬라 2025년 1분기 인도량 발표치 확인

2025년 4월 2일, 테슬라가 발표한 1분기 차량 인도량은 336,681대로 확인되었다. 이는 여러 소식통과 분석가들이 예상했던 수치보다 낮은 결과로, 예를 들어 월가의 컨센서스는 377,592대, FactSet은 408,000대, Bloomberg은 398,000대를 예상했으며, 독립 분석가인 TroyTeslike는 355,000대, TSLAFanMtl은 350,000대를 예측한 바 있다.

작년 1분기 인도량 387,000대와 비교하면 약 13.4% 감소한 수치로, 이는 2022년 3분기 이후 가장 낮은 인도량이다. 주요 원인으로는 모델 Y의 디자인 변경으로 인한 생산 차질, 유럽과 중국에서의 수요 감소(각각 50% 하락), 그리고 엘론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로 인한 브랜드 이미지 훼손이 꼽힌다.

 

또한, 중국의 BYD와 같은 경쟁 업체의 저가 모델 출시와 빠른 기술 발전이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을 위협하고 있다.

 

인도량 발표가 주가에 미친 즉각적 영향

테슬라의 1분기 인도량이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면서 주가는 발표 직후 큰 변동성을 보였다. 4월 2일 오전 9시(EDT) 기준, 테슬라 주가는 268.46달러에서 시작했으나, 발표 후 7% 이상 하락하며 250달러 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실망감이 확산된 결과로 보인다. X 플랫폼에서 확인된 투자자 반응에 따르면, 390,000대를 넘으면 주가가 280290달러로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는 낙관적 전망이 있었으나, 335,000대라는 결과는 370,000380,000대 수준에서도 소폭 변동에 그칠 것이라는 예측보다 훨씬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부 투자자는 350,000대 미만일 경우 추가 하락 가능성을 언급했는데, 이번 결과가 그 기준에 부합하며 하락세를 가속화한 것으로 보인다.

 

단기 주가 전망과 시장 반응

단기적으로 테슬라 주가는 추가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JPMorgan은 이미 1분기 인도량을 355,000대로 낮춰 예측하며 최악의 경우를 경고한 바 있으며, 이번 결과는 그보다도 낮은 수치다. RBC Capital Markets의 톰 나리얀은 유럽과 중국에서의 수요 감소와 머스크의 정치적 논란을 주요 원인으로 지적하며, 단기적으로 주가가 230~240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트럼프의 4월 2일부터 적용된 25% 관세 정책이 테슬라의 부품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수익성을 더욱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부 낙관론도 존재한다. Wedbush의 댄 아이브스는 여전히 550달러라는 높은 목표가를 유지하며, 이번 인도량 발표를 “밴드를 떼어내는 아픈 과정”으로 표현하면서도 장기적으로 자율주행 기술과 로보택시 사업이 주가를 견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현재 시장 분위기는 부정적이며, 4월 중순으로 예정된 실적 발표에서 추가적인 악재가 드러날 경우 주가는 더 큰 하락을 겪을 수 있다.

 

장기 주가 전망과 투자 고려 사항

2025년 연간 전망은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테슬라의 공식 연간 인도량 예상치는 1,851,001대지만, Deutsche Bank는 이를 1,700,000대로 하향 조정하며 “기대치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면, CoinCodex는 2025년 주가가 203.25~488.39달러 사이에서 변동할 것으로 예측하며, 11월 7일까지 81.92%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낙관했다. LongForecast는 4월 주가를 275달러로 시작해 연말 293달러로 마감할 것으로 전망하며 소폭 상승세를 점쳤다.
장기적으로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FSD)과 로보택시, 에너지 저장 부문의 성장이 주가 반등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경쟁 심화, 브랜드 이미지 문제, 그리고 트럼프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가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한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변동성에 대비하면서, 테슬라의 기술 혁신과 글로벌 시장 대응 전략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특히 4월 중순 실적 발표에서 긍정적인 서프라이즈가 나오지 않는다면, 주가는 추가 하락 후 5월부터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반등을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