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운전면허 갱신: 1종·2종 면허 조건과 준비 사항 총정리

by info-fitzgerald 2025. 3. 16.
반응형

운전면허 갱신: 1종·2종 면허 조건과 준비 사항 총정리

운전면허 갱신: 1종·2종 면허 조건과 준비 사항 총정리

운전면허는 유효기간이 있어 정기적으로 갱신해야 합니다. 도로교통법에 따라 운전면허 갱신 주기와 절차가 정해져 있으며,

1종 면허(대형·특수·보통 등)와 2종 면허(소형·원동기 등)는 준비해야 할 사항이 다릅니다.

아래 내용에서 잘 확인하시고 늦어서 아까운 과태료를 내지 않도록 준비해봅시다.

아래에서 갱신 시기, 방법, 필요 서류, 비용 등을 1종과 2종으로 나눠 자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1. 운전면허 갱신 기본 정보

  • 유효기간:
    • 2011년 12월 9일 이후 발급받은 면허는 10년(70세 이상은 5년).
    • 갱신 가능 시기는 유효기간 만료일 6개월 전부터 만료일 후 1년까지(1년 초과 시 면허 취소).
  • 갱신 방법:
    • 오프라인: 운전면허시험장, 경찰서 민원실.
    • 온라인: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www.safedriving.or.kr, 2종 보통만 가능).
  • 주의 사항:
    • 갱신 전 교통법규 위반(벌점, 벌금 등)이 있으면 처리 후 가능.
    • 만료 후 1년 내 갱신 시 과태료 없음, 1년 초과 시 재취득 필요.

2. 1종 면허 갱신

1종 면허(대형, 특수, 보통 등)는 대형 차량 운전 자격이 포함된 만큼 갱신 시 신체검사와 적성검사가 필수입니다.

조건 및 기준
  • 대상: 1종 대형, 1종 특수, 1종 보통 면허 소지자.
  • 적성검사:
    • 갱신 시마다 필요(최초 취득 후 10년마다).
    • 65세 이상은 5년마다, 75세 이상은 3년마다 추가 검사.
  • 신체검사 항목: 시력(0.8 이상, 양안 기준), 색각, 청력, 운동능력 등.
  • 제한 조건: 적성검사 불합격 시 면허 정지 또는 취소(예: 시력 미달).
준비 사항
  • 신분증: 주민등록증, 여권 등(사본 불가).
  • 증명사진: 3.5cm×4.5cm, 최근 6개월 내 촬영, 2매(온라인은 1매).
  • 적성검사 결과:
    • 지정 병원(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 확인)에서 검사 후 제출.
    • 비용: 병원별 상이(약 2만~4만 원).
  • 수수료:
    • 1종 보통: 13,000원.
    • 1종 대형·특수: 15,000원.
  • 온라인 불가: 1종은 적성검사로 인해 방문 처리만 가능.
절차
  1. 지정 병원에서 적성검사 실시 → 결과지 수령.
  2. 운전면허시험장 또는 경찰서 방문 → 서류 제출 및 수수료 납부.
  3. 신규 면허증 즉시 발급(약 10~20분 소요).

3. 2종 면허 갱신

2종 면허(보통, 소형, 원동기 등)는 소형 차량 운전에 적합하며, 1종보다 간소한 조건으로 갱신할 수 있습니다.

조건 및 기준
  • 대상: 2종 보통, 2종 소형, 원동기장치자전거 면허 소지자.
  • 적성검사:
    • 2종 보통: 65세 미만은 면제, 65세 이상은 5년마다 필요.
    • 2종 소형·원동기: 적성검사 면제(단, 건강 이상 시 제한 가능).
  • 신체검사:
    • 65세 미만 2종 보통: 기본 시력(0.5 이상)만 확인.
    • 65세 이상: 시력, 색각 등 추가 검사.
  • 온라인 가능: 2종 보통(65세 미만)은 온라인 갱신 허용.
준비 사항
  • 신분증: 주민등록증, 여권 등(온라인은 공인인증서).
  • 증명사진: 3.5cm×4.5cm, 최근 6개월 내 촬영, 2매(온라인은 디지털 파일 1개).
  • 적성검사 결과:
    • 65세 이상 2종 보통: 지정 병원에서 검사(비용 약 2만~4만 원).
    • 65세 미만 또는 2종 소형·원동기: 불필요.
  • 수수료:
    • 2종 보통: 8,000원(온라인 7,500원).
    • 2종 소형·원동기: 7,000원.
  • 배송비: 온라인 갱신 시 추가 3,000원.
절차
  • 오프라인:
    1. 필요 시 적성검사 후 결과지 준비.
    2. 면허시험장·경찰서 방문 → 서류 제출 및 수수료 납부.
    3. 신규 면허증 발급.
  • 온라인(2종 보통, 65세 미만):
    1.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공인인증서).
    2. 사진 업로드 → 수수료 결제 → 배송지 입력.
    3. 면허증 우편 수령(3~5일 소요).

4. 공통 주의 사항

  • 장소:
    • 운전면허시험장(전국 27곳, 평일 9시~17시, 토요일 일부 운영).
    • 경찰서(평일 9시~18시, 지역별 상이).
  • 과태료:
    • 만료 후 1년 내 갱신 시 면제.
    • 1년 초과 시 면허 취소 후 재시험(1종 40,000원, 2종 25,000원).
  • 모바일 면허증: 갱신 후 경찰청 ‘PASS’ 앱에서 등록 가능(추가 비용 없음).

 

요약 비교

 

구분1종 면허2종 면허
대상 대형, 특수, 보통 보통, 소형, 원동기
적성검사 10년마다 필수(65세 이상 5년) 65세 미만 면제, 이상 시 5년마다
수수료 13,000~15,000원 7,000~8,000원
온라인 불가 2종 보통(65세 미만) 가능
준비물 신분증, 사진 2매, 적성검사 결과 신분증, 사진 2매(필요 시 검사)

마무리

운전면허 갱신은 1종과 2종의 조건 차이를 잘 확인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1종은 적성검사로 절차가 까다롭지만, 2종은 간소화된 점이 특징입니다. 유효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미리 준비하시고, 궁금한 점은 도로교통공단(1544-1212)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문의하세요. 안전운전을 위한 첫걸음, 잊지 말고 갱신해 주세요!

반응형